[뉴스포커스] 코로나19 전국 3차 유행…중환자·사망자 급증<br /><br /><br />어제 코로나19 확진자가 689명으로 사흘 연속 700명 가까이 발생한 가운데, 일상 공간을 매개로 한 집단 감염이 속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확진자가 연일 600명 넘게 나오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병상 부족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들,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호흡기내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먼저 오늘 오전 9시 반에 발표된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689명으로 사흘째 700명 가까이 발생했습니다. 현재 코로나19 확산세,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확진자가 늘다보니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증가하고 있는데요. 확진자 증가에 따른 어쩔 수 없는 현상으로 봐야 할텐데요.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를 줄일 특단의 방법 없을까요?<br /><br /> 이번 3차 유행의 가장 큰 문제는 일상 속 감염입니다. 충북 음성에선 보름 전부터 오한과 근육통 등 의심 증상이 있었는데, 단순 감기로 생각하고 동네 병원을 다니며 진료를 받았다고 하는데요. 증상이 보름 전부터 있었다면, 가족과 주변인들은 이미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겠죠?<br /><br /> 다음 주부터는 증상이 없어도 선별진료소에서 무료로 진단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는데요. 갑자기 사람이 몰리게 되는 것도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. 이에 대해 좀 더 체계적인 계획을 세울 방법 있을까요?<br /><br /> 확진자 폭증에 무료 검사까지 늘다보니 선별진료소에서 진단검사를 하는 분들의 피로도가 높아져 의료 인력 보강이 불가피한 상황인데요. 이 부분에 대한 대책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확진자가 연일 600명 넘게 나오고 있다 보니 경증 환자를 치료하는 생활치료센터 입소도 쉽지가 않다고 합니다. 코로나19 확진을 받고도 집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는데, 이 부분에 대한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선제검사와 마찬가지로 병상도 선제적으로 최대한 준비해야 만약의 사태에 대비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 방역당국이 체육관 병원을 준비하는 건 아직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체육관이나 컨벤션센터 같은 곳을 대형 임시병원으로 만드는 데 대한 장단점이 있다면 어떤 점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경기도에선 전문의가 전화로 자택에서 대기 중인 코로나19 환자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는 '홈케어 시스템'이 가동되고 있다고 하는데요. 현상황에서 홈케어 시스템이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? 문제는 없습니까?<br /><br /> 이번엔 백신 얘기를 좀 해보겠습니다. 정부가 가장 많이 확보했다고 하는 아스트라제네카의 미국 FDA 승인이 늦어지는 것과 관련해 정부는 국내 생산과 도입이 지체될 가능성은 낮다고 했습니다. 우선 미국 FDA에서 승인이 늦어지고 있는 이유는 뭔가요?<br /><br /> 우리 정부는 만약에 대비해 어떤 대책을 세우고 있나요?<br /><br /> 마지막으로 이 질문 드리겠습니다. 이번 주 화요일부터 수도권 2.5단계 격상됐습니다. 확진자가 다음 주까지도 계속 증가세를 보이면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격상할 가능성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